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2024.02.20 - using namespace std, 변수 표기법, 자료형의 크기, 입력받기(cin)
    C++ 2024. 2. 20. 17:07
    • 네임스페이스 사용

    C++에서 출력을 할 때 다음과 같은 문법을 사용한다고 배웠다.

    네임 스페이스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간단히 표현할 수 도 있다.

    코드가 짧아지고 가독성이 올라간다는 장점이 있지만, 충돌로 컴파일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.

    이렇게 쓰는 것은 지양한다.

     

     

    • 변수 표기법

    다양한 사람들이 코드를 보기 때문에 가독성을 위해 변수의 이름을 잘 짓는 것이 좋다.

    변수 이름을 짓는 다양한 표기법이 있다.

    - 카멜(낙타) 표기법: 여러 단어로 구성된 변수명의 경우 맨 앞 단어를 제외한 각 단어의 첫 알파벳을 대문자로 표현한다.

    ex) int playerAtk;

    - 헝가리안 표기법: 변수 앞에 데이터 타입을 붙여준다.

    ex) int iNum; bool nNum;

    - 스네이크 표기법/팟홀 표기법/언더바 표기법: 모든 단어를 소문자로 표시하며 각 단어를 언더바(_)로 구분한다.

    ex) int player_atk;

     

     

    • 자료형과 그 크기를 실제로 확인해보기

    - sizeof() 함수

    : 변수/자료형이 차지하는 메모리 크기를 재어 byte단위로 나타내 주는 함수.

    sizeof(자료형)을 사용해 각 자료형이 얼마만큼의 메모리를 차지하는지 알 수 있다.

    앞서 과제에서 조사한 바와 같은 값이 나왔다.

     

    *tip

    - CPU는 4바이트 단위로 끊어서 계산하는 것을 선호한다.

    - 메모리를 아끼기 위해 short형을 쓸 수 있지만, 연산이 많은 경우 int형을 쓰는 것이 유리하다.

    - 연산 속도 보다 데이터 크기가 더 중요한 경우 short를 쓸 수 있다. 목적에 맞게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자.

     

     

    • 사용자로 부터 값을 입력받기 (cin)

    앞서 cout을 통해 값을 출력한다고 배웠다. 사용자로 부터 값을 입력 받기 위해서는 cin을 사용한다.

    cin도 cout처럼 <iostream>안에 포함되어 있다.

    cout과는 반대로 >>연산자를 사용해 변수에 값을 넣는다.

    코드를 실행하면 사용자로 부터 입력 값을 받는다. 사용자가 입력한 값은 변수 rad에 저장된다.

     

    '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2024.02.21 - switch, case  (0) 2024.02.21
    2024.02.21 - region, if  (0) 2024.02.21
    2024.02.21 - 과제 중 문제 해결  (0) 2024.02.21
    2024.02.20 - 연산자  (0) 2024.02.20
    2024.02.19 - Hello World, 변수  (0) 2024.02.19
Designed by Tistory.